바우와우는 반려견, 애견 관련 뉴스를 빠르게 전달드립니다.
실시간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펫코노미’ 성장, 3년간 카드 결제액 30%↑
[고령층 지출 증가 두드러져… 온라인 구매도 급성장]
기 침체 속에서도 반려동물을 위한 지갑은 오히려 더 열리고 있다.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소비가 내수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KB국민카드는 1일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자사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반려동물 업종(동물병원, 용품 전문점)의 카드 이용 고객 수가 39% 증가했으며, 이용 금액 역시 30% 늘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총 354만 명의 고객이 반려동물 업종에서 결제한 2,485만 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전체 고객의 2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20대와 40대가 각각 22%, 50대가 20%, 60대 이상은 13%를 기록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의 지출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60대 이상의 이용 금액은 60% 급증했으며, 반려동물용품 구매는 77%, 동물병원 진료비 지출은 57% 늘어났다.
온라인 소비 확대도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해 반려동물용품(사료, 간식, 의류 등)의 온라인 구매 비중은 64%를 기록해 3년 전 대비 53% 증가했다. 오프라인 가맹점 구매액 역시 27% 늘며 전반적인 수요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고양이용품 온라인 매출이 3년간 81% 증가하며 강아지용품(49%)보다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인프라 확충도 눈에 띈다. 동물병원 가맹점 수는 2021년 말 약 1만 4,000곳에서 지난해 말 1만 7,000곳으로 3,300곳(24%) 증가했다. 특히 매출 상위 10% 동물병원의 매출 비중은 2021년 62%에서 지난해 68%로 상승하며 대형 병원 중심의 매출 쏠림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고령화 사회 진입과 1인 가구 증가, 정서적 안정감 추구 등 사회적 요인과 맞물려 반려동물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고령층의 반려동물 관련 지출 확대와 온라인 중심의 소비 트렌드 확산 등 반려동물 산업 전반에서 소비 패턴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반려동물 시장은 향후 의료, 보험, IT 기술 접목 등 고도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련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